Article

"제조업 기반 한국, ESG 관심 낮아…기후금융 활성화를"

2021 키플랫폼 -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미래, ESG

김영상 | 2021.04.29 16:45

image
김성주 금융감독원 지속가능금융팀장이 29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주최 '2021 키플랫폼' 특별세션2에서 '기후금융과 대응방안'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도 기후금융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원은 홍보에 적극 나서는 한편 국내 현실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도입할 계획이다.

김성주 금융감독원 지속가능금융팀장은 2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2021 키플랫폼(K.E.Y. PLATFORM 2021)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미래, ESG' 특별세션에서 기후금융의 현황과 대응방안을 주제로 강연했다.

국내에서 기후채권, 기후여신, 기후펀드 등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투자를 유도하는 기후금융은 아직 시작 단계다. 김 팀장은 "앞서 라임이나 옵티머스 사례에서 보듯, 금융시장이 과열될 경우 이상한 펀드들이 나올 수 있다"며 "이를 금융위원회와 함께 모니터링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다만 기후금융이 초기 단계인 만큼 큰 금융기관 외에는 이것을 적용시키기는 무리가 있다"며 "아직 걸음마도 못 뗀 아이에게 달리라는 말이 될 수 있어 기후금융을 알리는 선행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감독당국 입장에서는 기후금융 발전에 따른 그린워싱 문제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아직은 규모가 크지 않아 수면 아래에 있지만 향후 중요한 이로 작용할 수 있다.

김 팀장은 "규제를 지키면서 탈탄소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지 정확히 알 수 없어 이를 재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며 "특히 기후 관련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하는데 감독당국 입장에서는 그린워싱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적게 받는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기후변화를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갈수록 해외에 진출하는 국내 기업이 많아지면서 갈수록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김 팀장은 "우리나라 기업 중에는 전 세계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이 많은데 해당 국가의 규제나 물리적 변화에 따른 변수가 우리 기업으로 전가될 수 있다"며 "그런 기업들과 인터뷰를 해보면 기후금융에도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제조업에 기반을 둔 미국과 한국이 유럽보다 기후금융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전 세계 감독기관에서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있지만 법적 구속력을 부과하기 어려운 이유다.

김 팀장은 "제조업 기반의 나라는 규제가 강하게 들어가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다는 사실을 국제기구도 알고 있다"며 "반면 금융업을 기반으로 하는 영국은 정부 주도의 정책이 쉽게 이뤄진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모든 기업이 세계 여러 기관의 규정을 준수할 수밖에 없는 미국은 자생적으로 토대가 마련돼 있어서 정부 규제가 나오더라도 별다른 혼돈 없이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기후금융의 향후 발전 과정에서 이를 감독하는 당국의 역할도 더 중요해질 전망이다. 김 팀장은 "우리나라 역시 기후금융 초기 단계인 만큼 정부 협의 하에 조만간 공시 지침이 마련될 것"이라며 "국제기준 제정을 위한 논의 과정에도 참여하면서 국제 흐름에 보조를 맞추는 가운데 우리나라만의 특별한 이슈를 녹여낼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올해 지속가능금융팀을 신설하고, 영국 대사관과 한국형 기후리스크 모형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ESG 흐름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2021년 녹색금융 추진계획'에 따라 녹색금융을 취급하는 금융회사의 기후리스크를 관리하고 감독계획을 마련하는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