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대한민국 청년 CEO들이 말하는 '일하는 방식의 전환'

2021 키플랫폼 - 에필로그 토크

정한결 강민수 김상준 | 2021.04.29 15:00

image
조쉬 리 스윗 테크놀로지스 창업자 겸 대표가 29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주최 '키플랫폼 2021' 총회에서 '한국형 적응 전략에서 배운다'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전 세계가 격변의 시기를 맞은 가운데 생존을 위해 일터부터 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기업가들은 소통과 업무를 결합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스윗 조쉬 리 대표 "소통과 업무는 하나…생산성 기준 바뀌었다"


조쉬 리 스윗 테크놀로지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2021 키플랫폼 개막총회 에필로그 토크에서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채팅과 업무가 하나로 결합돼야 한다"고 말했다. 스윗 테크놀로지는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스타트업으로 협업 도구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리 대표는 "우선 생산성에 대한 정의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원을 적게 투입해 생산량을 크게 늘리는데 초점을 둔 기존 생산성의 의미가 팬데믹 이후 바뀌었다는 설명이다.

그는 "IT(정보기술) 기업에서는 똑같은 시간을 투입해 프로그램을 많이 만드는 것보다 입력할 코딩 줄 수가 적은게 더 중요하다"며 "전통적 의미의 생산성이 더이상 통하지 않는데 이는 팀 협업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리 대표에 따르면 최근 기업 직원들은 이메일, 화상통화 보다 주로 채팅을 통해 소통한다. 직원들이 업무 시간의 상당수를 채팅에 할애하기에 리 대표는 채팅을 통한 소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면 팀 생산성을 올릴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이메일 등 기존 협업 소프트웨어들이 30~40명 수준의 팀 내 소통을 기준으로 설계됐다면 이제는 수만 명 단위의 대기업 직원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소통·업무 방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리 대표는 "기존 협업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들은 도리어 협업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며 "너무 많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불필요한 공지와 관리 비용이 증가했고, 결국 생산성이 떨어지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새 시대에 걸맞는 재정의된 생산성에서 멀어지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리 대표는 업무와 소통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리 대표는 "미래적 업무 방식이 코로나로 인해 앞당겨졌다"며 "말(소통)과 업무를 분리하지 말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모두가 손쉽게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전환 통해 신사업 개척하는 센트랄 강상우 사장


image
강상우 센트랄 총괄사장이 29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주최 '키플랫폼 2021' 총회에서 '한국형 적응 전략에서 배운다'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리 대표에 이어 무대에 오른 강상우 센트랄 총괄사장은 코로나 시대에 발맞춘 디지털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센트랄은 경상남도 창원에 소재한 연 매출 1조2000억원의 중견 자동차 부품업체다. 당초 제조업으로 시작했던 센트럴은 최근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진출하면서 디지털 전환을 통해 코로나 사태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기업으로 꼽힌다.

강 사장은 "일하는 방식이 곧 그 회사의 조직문화를 의미한다"며 "보통 기업들이 조직문화를 바꾼다고 하면 슬로건 등 추상적 단어를 던지지만 그래서는 바뀌는 게 없다"고 지적했다.

센트랄의 디지털 전환은 4년 전부터 종이를 없애고 전 직원에 노트북을 지급하면서 시작됐다. 앞서 업무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존댓말 사용, 복장 자율화 등을 추진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센트랄은 더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직원들의 모든 일정은 온라인으로 공유하기 시작했고, 전국 곳곳에 흩어진 공장들과 전체 화상회의를 실시했다. 이와 함께 유연근무제와 자율좌석제를 도입했고, RPA(로봇프로세스자동화)를 통해 반복 업무를 자동화했다.

결국 이를 통해 최근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진입할 수 있었다. 강 사장은 "제조업을 오래하다 보니 새로운 걸 할 수 없었다"며 "그러나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고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제조역량과 디지털 이해력을 바탕으로 신사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모빌리티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업체 엠블랩스와 함께 동남아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강 사장은 "캄보디아를 시작으로 전기차를 만들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시작했다"며 "동남아를 비롯한 적도 벨트 지역에 플랫폼과 전기차를 팔겠다"고 포부를 밝혔다.